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

리히터를 둘러싼 단상 2 앞선 글에서 리히터의 연주는 강한 설득력을 가진다(2020/08/07 - 리히터를 둘러싼 단상)고 했는데, 좀더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그의 연주는 설득을 강하게 하는 정도가 아니라 청자에게 그의 해석을 거의 강요(?)하는 수준이다. 당연하게도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은 아니지만 거의 그렇다고 느껴질 정도로 자체적인 완결성이 뛰어나다. 이것이 그의 연주를 특별하게 만드는 점이다. 그와 같은 정도의 설득력 있는 연주를 하는 피아니스트는 거의 없다(최근에는 그리고리 소콜로프가 이러한 면에서 그의 뒤를 잇는(?) 피아니스트로 느껴지긴 한다). 미켈란젤리나 코롤리오프 같은 연주자들은 음 하나하나에 대한 완벽한 통제를 통해 흠잡을 수 없는 연주로 청자를 압도한다. 페라이어는 따스한 노래를 통해 마음을 녹이고, 플레.. 2020. 8. 7.
리히터를 둘러싼 단상 예전에 한참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에게 빠져 그의 음반을 보는 족족 사모으던 때가 있었다. 돌아보면 당시 학생이었기 때문에 넉넉치 못한 주머니 사정으로 인해 음반을 그리 많이 살 수 있었던 건 아니지만, 그래도 그의 음반이 보일 때마다 위시리스트에 넣어놓고는 용돈이 생길 때마다 그 목록을 하나씩 지워나갔다. 그리고 그렇게 산 음반들을 질리도록(결국 질린 음반은 여전히 하나도 없지만) 듣고 또 들었다. 때문에 당시 리히터의 연주로 처음 접한 레퍼토리들도 적지 않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들이 슈만의 작품들이다. 리히터가 녹음한 슈만의 교향적 연습곡이나 환상곡 등의 음반은 여전히 내가 가장 사랑하는 음반들 중의 하나다. 최근에 이사를 준비하면서 오래도록 듣지 않았던 음반들을 정리하며 하나씩 들춰보게 되었는데 그.. 2020. 8. 7.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 / 낯설음에 대하여 슈베르트의 겨울나그네를 처음 접한 것이 언제인지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다. 기억을 더듬어보자면 음반을 통해 접한 것이 아니라, 레슨 시간에 곡을 먼저 배웠던 것 같다. 그런데 그 레슨이 성악레슨이었는지, 가곡반주레슨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성악레슨 때도 노래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끼리 서로 반주를 해주어야 했고 가곡반주레슨 시간에도 마찬가지로 서로의 반주에 맞추어 노래를 해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전체 곡을 다룬 것은 아니고 Gute Nacht, Lindenbaum, Frühlingstraum 등 몇몇 곡들만을 공부했었던 것 같다. 그렇게 접한 곡이 마음에 들어 처음 샀던 음반이 피셔-디스카우와 제랄드 무어의 EMI반이었다. 그러나 이 음반은 처음에는 그리 즐겨듣지 못했는데 당시에는 디스카우의 해석을 이해.. 2020. 8. 2.
말러가 전해주는 위로 교향곡이나 장대한 소나타처럼 거대한 규모의 곡을 들을 때 곡 전체의 구조와 구성을 파악하고 들을 수 있다면야 물론 무척이나 좋겠지만 그게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그리고 꼭 그렇게 해야만 곡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때로는 짤막한 멜로디 한 소절에 탄식하기도 하고 생각지도 못한 화음 하나가 저릿저릿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어찌보면 아무런 감정의 동요 없이 곡을 분석하느니 어쩌니 하는 것보다 그렇게 곡의 어느 한 부분에 꽂혀서 그곳을 반복해서 흥얼거리게 되는 것이 곡에 대한 진짜 이해의 시작일는지도 모른다. 지금 내게 말러 교향곡 5번이 그렇다. 곡 전체의 구성은 잘 모르겠지만, 듣다보면 생각보다 감정이 먼저 동요하게 되는 구절들이 점점 더 생기고 있다. 현악기들의 피치카토를 들으며 몸이 절.. 2020. 7. 31.